[투자길라잡이] 주가는 오르고, 시장은 식는다… 우리는 어디를 보고 투자해야 할까요?
투자를 하다 보면 뉴스보다 훨씬 더 강한 시그널을 마주할 때가 있습니다.
차트도 아니고 기업실적도 아닌 현장에서 들려오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분위기말입니다.
최근 화제가 되었던 충남 예산시장, ‘백종원의 예산시장 프로젝트’로 전국적인 명소가 되었던 그곳에 다시 불안감이 감돌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현장을 찾은 상인들은 "이러다 다시 예전처럼 시장이 조용해지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을 하고 있었습니다.
한때 북적이던 시장이 다시 조용해지고 있다는 소식은 우리에게 단순한 지역 상권의 문제가 아닌 투자의 본질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합니다.
예산시장은 '사람이 만든 브랜드 시장'이었습니다.
단순한 지역 전통시장에 머물지 않고 '백종원'이라는 인물 브랜드가 시장 전체에 영향을 주며 수많은 방문객과 소비를 만들어냈죠.
하지만 최근 몇 개월 사이 그를 둘러싼 여러 논란이 불거지며 시장 전체가 다시 가라앉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한 가지 중요한 투자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브랜드와 기대감은 강력하지만 실체가 흔들리면 시장 전체가 출렁인다.”
이는 단지 예산시장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주식 시장에서도 아주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예산시장 사례처럼 한때 강력했던 기대감과 분위기에 힘입어 ‘반짝’ 성장하는 기업이나 산업은 언제나 존재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투자할 때는 그 '반짝임'만 보고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중요한 것은 이 기대가 실제 수요와 실적, 지속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는가입니다.
제품이 잠깐 흥행했다고 해서 그 기업의 주가는 계속 오르지 않습니다.
특정 인물이나 마케팅으로 인한 흥행은 소비심리 변화에 따라 빠르게 꺼질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흐름’을 따르되 ‘기초체력’을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예산시장에서의 ‘줄 서는 명소’가 지금은 한산한 점포가 되었듯 시장에서는 언제든 주목받는 종목이 외면받는 종목으로 바뀔 수 있다는 점을 항상 기억하셔야 합니다.
예산시장 상황의 핵심은 ‘백종원’이라는 한 인물에 너무 많은 기대가 실렸다는 점입니다.
그가 아닌 시스템이나 구조 자체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었다면 일시적인 논란에도 흔들림이 덜했을 것입니다.
이처럼 투자에서도 우리는 종종 유명 CEO, 카리스마 있는 리더 혹은 말 잘하는 대표에게 매료됩니다.
그러나 인물 중심의 투자 판단은 위험을 동반합니다.
진짜 중요한 건 그 회사의 수익 모델은 무엇인가? 이익이 지속될 수 있는 구조인가? 위기가 왔을 때도 흔들리지 않는 시스템이 존재하는가?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믿어야 할 것은 ‘사람’보다 ‘비즈니스 모델’과 ‘시장 구조’입니다.
예산시장은 지금 한 번의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시장이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요?
저는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이미 한번 성공을 만들어본 구조와 인프라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역사회와 행정의 협력, 상인들의 의지가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죠.
이처럼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좋은 기업은 위기를 겪어도 다시 회복할 수 있는 힘, 즉 복원력(Resilience)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시적인 논란에도 제품 품질이 흔들리지 않거나 수요 둔화 시기에도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있는 전략이 있다면 그 기업은 다시 오를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투자자의 눈은 '떨어지는 속도'보다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봐야 합니다.
장터는 늘 사람 냄새 나고 소문에 민감한 공간입니다.
잠깐 소문이 돌면 북적이고 또 금방 조용해지기도 하지요.
그렇기 때문에 장터를 운영하는 상인은 잠깐의 손님보다 꾸준히 다시 찾아오는 단골을 만드는 데 집중합니다.
이 지혜는 투자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우리는 잠깐 올라가는 주식보다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있는 기업을 골라야 하고 사람들의 말보다 숫자와 구조를 볼 줄 알아야 하며 기대감보다 회복 탄력성을 신뢰해야 합니다.
지금의 예산시장 상황은 투자자에게 이렇게 속삭입니다.
“화려했던 이름 뒤에 숨어 있는 진짜 가치를 보세요. 그리고 조용히 회복하는 힘이 있는 대상을 찾으세요.”
바로 그것이 흔들림 속에서도 길을 찾는 올바른 투자자의 길일 것입니다.
출처: https://lbcko0.tistory.com/100 [투자 길라잡이:티스토리]